주식,가상화폐

(차트보는방법) 스캘핑 매매 (나만의 스캘핑매매 기법2편)

차흑우 가상화폐 2021. 2. 24. 21:04
728x90

안녕하세요  
오늘은 이전 편과 이어서 추가로 설명하겠습니다.

아직 이전편못보신분들은 나만의 스캘핑매매 기법 1편 <<클릭
1편에 이어 2편을 알아보겠습니다.



일반적인 매매법에는 1 분봉에서 3일선과 5일선이 골든크로스를 되어야 매수를 합니다.
주가 가격이 3일선과 5일선 아래에 있을 때는 급하락 이 아니라면 매수하지 않습니다.

이것과 함께 동시에는 틱 차트를 같이 봅니다.
틱 차트에서 정배열이 되지 않는다면 정배열이 될 때까지 기다립니다.
(1~2호가 더 주고 무리하게 매수하는 할지라도 기다립니다)

이 말은 즉 추세가 완전히 상승세로 돌아간 것을 확인한 후에 그리고 지지를 확실히 확인 한 후에 매수합니다.
과감한 손절이라고 해도 아무 원칙 없이 매매하게 되면 수수료와 세금에으로 손실을 보게 될 것입니다.

아무리 스캘퍼라도 아무 때나 들어가지 않는 게 좋습니다.
원칙 없는 매매는 손실이 되기 때문입니다.

손실을 다소 보았더라도 원칙 있는 매매를 했다면 매매에 대한 후회는 없습니다.
단 손실을 보게 된 원인은 체크합니다. 그래야 지만 다음에 반복되는 실수를 하지 않게 됩니다.



(틱 차트의 설정은 20일선, 60일선, 120일선, 240일선, 480일선을 설정합니다.)
틱 차트상에서
20일선은 일봉에서 3일선과 같습니다.
60일선은 5일선과 같같습니다.
120일선은 20일선과 같습니다.

틱 차트에서 20일선이 120일선을 타고 상승할 때까지 관망합니다.
120일선을 타고  올라타면 그때 매수 포지션을 잡습니다.

하지만 120일선이 아래로 흐르고 있는 상황이라면  20일선을 돌파했다고 해서 바로 매수하지 않습니다.
천천히 기다렸다가 매수가를 1~2호가 더 높여 무리하게 매수하는 한이 있더라도
완전히 상승추세로 돌아 설 때까지 기다렸다가 매수합니다.
기다리고 있는데 매수 기회도 안 주고 날아가면 매수에 대한 미련을 버리면 됩니다.

하지만 사람 심리라는 게 잘 안됩니다
대부분에 투자자들은 매수부터 하고 상승하기를 기도합니다..


매수는 한 박사 느리게 분할매수하는 것이 좋습니다.
매도는 한 박자 빠르게 매도합니다. 
(상승하던 주가가 하락한다면 분할 매도합니다. 매수했지만 상승하지 못하고 하락하고 있으면 전량 매도합니다.)



틱 차트상에서 120일선이 최하 횡보하고 있다면 20일선이 상승 돌파할 때 매수합니다.
120일선이 아래로 흐른다면 20일선이 돌파해도 해도 매수는 보류합니다
그 이유는 120일선이 아래로 하락할 때 20일선이 상승 돌파하더라도 일시적인 움직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익이 생겨도 수수료와 세금을 공제하고 나면 남는 것이 별로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충분히 기다렸다가 매수하는 습관을 가지시길 바랍니다.



1분 봉에서 볼린저 밴드 상단선을 타고난 후 상승하던 주가가 멈칫거리고 더 이상 상승 힘을 받지 못한다면
3분 봉, 30분 봉, 60분 봉을 보고 난 후 상위 봉에 중기, 장기 이동평균선이 있는지를 봅니다.

중기, 장기 이동평균선에 걸려 더 이상 상승하지 못한다겠다는 판단이 된다면
먼저 50%를 매도합니다. 그리고 지켜봅니다.


횡보 또는 느리게 하락(계단식 하락) 하고 있으면 계속 관망합니다.
느리게 하락하면 상승도 느리게 하게 됩니다.

그런 종목은 관망만 하고 난 뒤 2시 이후 변동성이 있을 때에 한해서 매매하고 
더 이상 매매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느리게 움직이는 종목은 변동성이 작기 때문에 수익 낼 수 없습니다.



분봉만 보지 말고 일봉이나, 주봉, 월봉의 상위 봉을 같이 봐줍니다.
그리고 주가 위에 중기, 장기 이동평균선이 있는지를 체크합니다.

장기 이동평균선이 240일 또는 480일선이 주가 위에 있다면 상승은 그지점이 한계라고 보고
현재가창을 보면서 매수와 매도의 힘을 보며 기다립니다.
상승에 한계를 느끼게 되면 상승에 대한 아쉬움 없이 바로 매도를 합니다.



주가의 고점을 형성할 때는 상승 캔들이 작은 것이 좋습니다.
장대양봉은 힘에 한계가 오고 있음을 알리는 시그널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주가가 고점을 형성하고
상승하는 장대양봉이 나온다면 마지막 천장이 가까워졌다고 생각하고 대처해야 합니다.


하락하던 주가가 상승턴할때 장대양봉이 나와야 좋은 것입니다.
그리고 저항선인 이동평균선을 상승 돌파할 때입니다.
바닥권에서에 장대양봉은 가장 좋습니다.
이와 반대로 고점에서의 장대양봉은 곧 하락할 거라는 미리 알려주는 시그널과 같은 겁니다.



주가가 상승 추세라면 상승은 길고 하락은 짧은 것이 올바른 예입니다.
하지만 상승하던 주가가  하락한 뒤 처음 상승했던 가격까지 다시 왔다면
해당 종목은 처음 상승했던 지점에서 지지받아서 상승하는 것보다 하락할 확률이 더 높습니다.

투자자들이 상승하고 있는 종목을 바라보며 과감히 매수하지 못하는 이유는
처음 상승할 때 가격까지 오면 매수하겠다는 생각이 머릿속에 있기 때문입니다.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상승하던 주가가 힘이 빠져 처음 상승했던
가격대로 오면 지지받고 상승할 거라는 기대를 하게 만들며

대부분의 투자자들은 매수할 것입니다.  그리고 상승하기를 기도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높은 확률로 깨지게 되어 있습니다.


상승추세가 맞다면 처음 상승했던 가격까지 오면 안 됩니다.
그것은 속임수에 불과한 기술적 반등 일확률이 높습니다.

상승세가 맞다면 맨 처음 상승 후 고점을 형성후 하락한다 해도  최하 50% 이상 하락하지 않는 선에서
특정 가격대까지 더 이상 하락하지 않고 지지 또는 눌림목을 주고 상승하게 됩니다.

직전 고점에서 거래량이 많지 않고 눌림목이 얇을수록 강하게
상승을 하여 전 고점을 가볍게 돌파하고 추가 상승으로 이어집니다.

하지만 직전 고점을 상승 돌파하지 못하고 하락한다면 고점이 두 개가 형성되는 것으로
쌍 고점을 만드는 것입니다. 다음 세 번째 쌍고점을 상승 돌파하기 위해서는 힘이 많이 필요하기 때문에
거래량이 따라오지 않으면 또다시 하락할 수밖에 없습니다.

고점을 형성한 후 하락을 멈추고 다시 상승을 하고 있다면 전 고점에 거래량을 살펴봐야 합니다.
거래량이 많았다면 그만큼 매물벽이 높은 것으로 판단하고  돌파하기가 쉽지 않을 것입니다.
그러나 전 고점에서 거래량이 많지 않았다면 쉽게 돌파할 확률이 높습니다.

오늘은 여기까지 마치며 
다음 편에는 스캘핑 매매기법 3편 (마지막) 포스팅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