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가상화폐

(차트보는방법) 스캘핑 매매 (나만의 스캘핑매매 기법)

차흑우 가상화폐 2021. 2. 23. 20:38
728x90

 

이 매매 기법은 저 만에 매매 기법입니다. 참고용이니 

따라 한다고 해당 매매방법처럼 이익을 가질 수 있다는 보장은 없습니다.

많은 실험을 겪은 끝에 얻은 저 만에 매매 방법이기 때문에 해당 글의 매매기법을
참고를 하여 더 낳은 자기 만에 기법을 완성하여

매일매일 수익을 내는 그런 매매를 하시기를 바랍니다.

 



차트 설정방법

분봉은 1분 봉, 3분 봉, 5분 봉, 10분 봉, 30분 봉, 60분 봉.

(보조지표 설정 방법 : 볼린저 밴드, 일목균형표, 스톡캐스틱, MACD, CCI, RSI.

이동평균선 설정 : 3, 5, 10, 15, 20, 35, 60, 90, 120, 240, 480일)

 

틱 차트

(이동평균선 설정 : 20, 60, 120, 240, 480일)

 

일봉, 주봉, 월봉

(보조지표 설정 : 볼린저 밴드, 일목균형표, 스톡캐스틱, MACD, CCI, RSI.

이동평균선 설정 : 3, 5, 10, 15, 20, 35, 60, 90, 120, 240, 480일 일봉 기준입니다)

 

 

 장 시작 매매 기법은 먼저 

 1분 봉을 보면서 매매를 합니다. 이것과 동시에 보는 차트는 일봉을 봅니다.
 (일봉이 의심스러우면 주봉, 월봉도 함께 봅니다)
(스캘핑 매매이기 때문에 주봉과 월봉에 차트가 무서워 진입하지 못하는 우는 범하지 않습니다.)

 3분 봉, 30분 봉, 60분 봉을 함께 봅니다.  1분 봉을 보며 매매하면서 그위에 봉을 보는 것은

 지지와 저항을 보기 위함입니다.  즉매 수시점과 매도시점을 보는 겁니다.)

 

장 시작 이후 갭 상승 종목을 눈여겨봅니다.
시가를 깨지 않는 상승하는 종목을 중심으로 봅니다

만약 시가를 깨고 하락하는 종목 있다면 절대 매매하지 않습니다.

(시가를  돌파하고 하락하는 종목은 시가 회복 후 상승할 때까지 매매하지 않습니다)

시가를 갭 상승하는 종목의 1분 봉을 보면 정배열일 것입니다.
갭 상승의 % 는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습니다.

가장 중요시 보는 것은 시가를 깨지 않고 상승하고 있는지 중요하게 봅니다.
 

시가를 손절가로 설정하고 공격적인 매수 합니다.
매수를 하고 난 후에 시가를 깨고 하락한다면 과감하게 손절을 합니다.

시가부터 공격적으로 매수하는 이유는 이미 전날에 매매할 종목 분석을 해놨기 때문에 가능합니다.

매수를 했는데 상승한다면 현재가 창과 상위 분봉과 일봉 등을 보면서 저항대를 봐줍니다

만약 예상한 저항대 가격까지 오르지 못하고 하락한다면 이익실현합니다.
첫 매매가 좋아야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처음 매매분의 50%는 이익실현을 합니다.

그리고 상승하던 주가가 하락하다가 특정 가격대 오면서 하락을 멈춘 후 횡보 후 상승을 하게 된다면 다시 매수합니다.

만약 매수한 가격 근처까지 오면 남은 50%의 물량도 매도합니다.

만약 주가와 시가가 고가의 50% 이상에서 주가가 있으면 50%의 남은 물량은 계속 보유합니다.

아직 이익이 난 상태이기 때문에  추가로 주가가 상승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주가가 눌림목 상태이고 다시 상승을 하며 저점을 높여 간다면
1차 상승 후에 하락한 저가를 손절가로 정하고 매수에 들어갑니다.

1차 저항대는 전 고점입니다.
해당 종목이 상승세를 계속 유지하려고 한다면 1차 저항대인 전 고점을 가볍게 상승 돌파해야 합니다.

하지만 장 시작 후  처음 고점을 형성 후에 하락할 때 거래량을 봅니다
거래량이 많아지고 전 고점을 돌파하려고 한다면
거래량이 수반돼야 합니다.
한 번만에 돌파하지 못하리라는 것을 예상하고 매매합니다.

고점을 형성하고 하락하는데 거래량이 별로 많지 않다면 전 고점은 한 번에 돌파할 수 있음을 배제하고 

매매에 참여합니다. 

1차 전 고점을 상승 돌파하다가 하락하면 50%의 물량을 매도합니다.

만약에 시간 조정, 가격조정 지난 후에 다시 전 고점을 상승 돌파를 시도한다면 다시 50%의 물량을 추가로 매수합니다.

해당 물량의 손절가는 바로 직전의 이전 고점입니다.
현재 가격 창과 차트를 보고 저항대를 봅니다.

특정 가격대부터 상승하지 못하고 하락한다면 전량을 매도하고 나옵니다.

이후에 대처는 변동성이 없으면 관망합니다.  또는 다른  종목으로 매매를 변경합니다.
전 고점을 상승 돌파하고 계단식 상승 또는 일정 이동평균선에 지지를 받고 상승을 이어간다면
100% 매수를 합니다.

상승추세가 완연하다면 머뭇 거릴 필요가 없기 때문입니다. 단 손절가는 필히 정하고 들어갑니다.

하지만 완연한 상승추세로 오판단 하고 풀 베팅을 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럴 때는 과감히 손절 읍합니다.

손절은 부분 손절이 아니라 일괄 손절로 대처합니다.

또 필요한 것은 급락을 하는 상황이면 지정가 손절이 아니라 시장가로 손절합니다.

손절해야 할 상황이 오면 가차 없이 손절부터 하고 봅니다.
그렇다고 손절을 했다고 해서 그 종목을 버리는 것은 아닙니다.


만약 급락하는 상황이라면 우선 손절부터 하고 차분히 매수 타이밍을 기다립니다.

만약 급락을 하는 상황이라면 매수는 없고 매도세만이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현재가 창에서 보면 매수호가에 최저에 매수호가만이 존재하게 됩니다.

지지 가라고 예상하고 매수호가에 걸어 놓았던 물량들이 급락을 하게 되면 
취소되면서 매수호가에 잔량이 최소가 됩니다.

그 타이밍에 매수 찬스가 오는 겁니다.
매수호가에 잔량을 보면 곧 하한가까지 갈 것 같은 상황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섣불리 매수할 개미는 없습니다. 그런데 그때 대부분 대량에 매수세가 유입됩니다.

이것은 세력이 아니고는 할 수 없는 행동입니다. 하락을 하는 상황에서 대량에 매수로 하락이 멈추고 장대양봉이
생깁니다,  그 타이밍에
곧바로 매수하는 것이 아니라 장대양봉이 형성된 후
장대양봉의 헤드를 돌파하는지를 두고 봅니다.

장대양봉에 돌파를 하는 것은 대량에 매수세는 개미들에 매수를 부추기기 위한 트릭을 주의해야 합니다.

그런데 장대양봉에 머리를 침범하는 매도 물량이 나오면 곧바로 매수세의 유입에 의해 장대양봉에 머리를

침범하는 것을 허락하지 않는다는 것이 체크가됫을대는 
장대양봉에 머리를 손절가로 지정하고 과감히 매수에 동참합니다.

하지만 장대양봉에 헤드를 손절가로 정하기에는 조금 아쉽다는 생각이 들면 장대양봉에
허리를 손절가로 정하기도 합니다.

그 이하로는 손절가를 정하지 않습니다. 즉, 장대양봉에 허리를 침범하며 하락하면 그 즉시 손절을 합니다.

그 후에 상승을 하여 이익이 난 상태라면 일봉과 분봉과 현재가창을 보고 이익실현을 합니다.) 

    

 매매기법 2편에서 추가로 포스팅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