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가상화폐

(주식정보) 주린이를위한 주식차트 보는법 기술적분석 (엘리어트 파동)

차흑우 가상화폐 2021. 2. 9. 23:53
728x90

이전 글 안 읽어 보신 분들은 참고해주세요 
1. 주식용어 2. 캔들  4. 보조지표 RSI   5. 보조지표 CCI

기술적 분석은 무엇일까요?
여러 가지 방법을 통해 종목을 분석하여 적절한 타이밍에 매매하는 방법입니다.

1. 패턴 분석하는 기법
이전 캔들이 형성된 것을 보고 이전 캔들의 모양이 이러할 때 
이런 결과가 나오는 것을 이용하여 매매하는 방법입니다.

예) 어센딩, 시메트리컬, 쌍바닥, 삼중바닥 , 기타 등등 이죠 다음 포스팅에 아마도 설명할 거 같네요

2. 추세 분석방법 
이 세상의 물질은 추세를 이루며 이루어진다는 " 관성의 법칙 " 
이세상의 모든 현상에 적용된다는 분석법입니다. 

예) 이전 포스팅에 설명한 돌파매매, 골든크로스, 기타 등등 이전 글 참고

3. 시장 특성 분석법
시장 분위기와 시장의 특정을 분석해서 그것을 알려주는 지표를 이용하는 것입니다.

예) RSI , 투자심리선, 거래량 이전 글 참고 


4. 시장구조이론 
이것은 이 오늘 배워볼 엘리어트 파동입니다.
기술적 분석 중장기 저점과 고점 이후 흐름을 예 착하는데 가장 중요한 기법 중 엘리어트 파동이론입니다.

엘리어트파동이론은 1939년에 개발되었습니다.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으며 무려 76년의 역사가 있는 기법입니다. 

엘리어트 파동 이론이란 무엇입니까?

엘리어트 파동 이론은 1~3개월 단기 파동 , 3개월~1년 중기 파동 , 2년~10년 장기파동 
평균 60 ~65%의 적중률을 보이는 기법입니다.

파동 사이클이 돌며 이루어진다고 보면 됩니다.
지금도 굉장희 많은 투자자들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위의 그림은 엘리어트 파동이론 상승 5파 빨간 선 1.3.5번 상승 충격파  파란색 2,4번은 조정파입니다.

엘리어트 파동이론은 크게 상승 5파와 하락 3파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상승 5 파는 위에  그림처럼 이루어져 있습니다.
상승 1.2.3.4.5 파로 구성되어있으며 빨간색 1.3.5 파는 엘리어트 파동 상승충격파동 입니다. 
2.4번 파동이 엘리어트 상승 구간 중 2번은 조정파동입니다. 

상승 국면 파동 

1번 파동 

새로운 추세가 시작되는 추세 전환점입니다.
5개 파동 중 가장 짧습니다. 충격 파동이기에 5개의 파동으로 구성되어야 합니다.

2번 파동
 
1번 파동과 반대방향으로 형성되는 조정파동입니다.
2번 파동은 1번 파동을 100% 이상되돌리는 경우는 없습니다. 즉 1번 파동의 저점까지 하락하지 않습니다.
2번 파동은 조정파동이기에 3개 파동으로 구성되어야 합니다.


3번 파동 


5개의 파동 중 가장 강력한 상승추세를가진 파동입니다. 거래량도 증가하며 갭 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일반적으로 5개 파동중 가장 깁니다 특히 1번 파동보다 길어야 합니다.
충격 파동이기에 5개 파동으로 구성되어야 합니다.

4번 파동 
3번 파동에 대한 추세 반적의 성격이 강한 조정파동입니다.
4번 파동은 3번 파동을 38.2% 되돌리거나 3번 파동을 5개 작은 파동으로 나눌 때 그중에서 4번째 파동만큼
되돌아가는 경향이 있습니다. 조정파동이기에 3개의 파동으로 구성되어야 합니다.

5번 파동 
추세 마지막 파동입니다 가격이나 거래량이 3번 파동에 비해 작게 형성됩니다.
1번 파동과 같은 길이로 형성되거나 1번에서 3번 파동까지 길이의 61.8%만큼 형성되는 경향이 높습니다.
충격 파동이기에 5개의 파동으로 구성되어야 합니다.


하락국면 파동

엘리어트 파동이론 하락 3파 A-B-C 파동입니다.
상승 5파가 끝난 이후에는 하락 3파가 나옵니다. 하락 3파는 상승 5파와 구별하며 위 사진의 ABC로 구분됩니다.


A 파동 

1번 파동에서 5번 파동까지 상승추세와 반대방향 새로운 추세가 시작되는 파동입니다.
충격 파동 이기에 5개의 파동으로 구성되어야 합니다.

B 파동 (마지막 매도시점)


하락국면에 대한 일시적인 반등이 나타납니다. 장세로 거래량이 적습니다.
새로 시작되는 하락 추세에 매수 세릭이 형성되는 국면입니다. (포지션 정리할 마지막 기회)
조정파동이기에 3개의 파동으로 구성되어야 합니다.


C 파동 

하락 국면의 마지막 단계입니다 일반 투자자들이 실망 매물이 출회됩니다. 
3번 파동과 유사하여 실망감과 두려움에서 비롯된 투매로 가격의 하락폭이 커지거나 갭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충격 파동이기에 5개 파동으로 구성되어야 합니다. 


엘리어트 파동이론 법칙 

2번 파동에 저점이 1번 파동의 저점보다 반드시 높아야 합니다.
3번 파동이 1.3.5 파동 중 제일 짧은 파동이 될 수 없습니다 (제일 길어야 합니다)
4번 파동의 저점은 1번 파동의 고점과 겹칠 수 없습니다.

4번 파동의 법칙 
4번 파동은 3번 파동을 5개로 하부 파동으로 나눌 때 그 4번째 파동만큼 돌아갑니다 또는 3번
파동을 38.2%만큼 되돌리는 경향이 있습니다. 


파동 변화의 법칙 
2번 파동과 4번 파동은 서로 다른 모양을 형성합니다.

1번 파동이나 3번 파동이 연장되지 않는다면 5번 파동이 연장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리고 1번 파동, 3번 파동 중 한파동이 연장이 된다면 5번 파동은 연장되지 않습니다. 
(1,3,5중 연장은 한 번만 일어납니다.)

파동 균등의 법칙 

 

3번 파동이 연장될 경우 5번 파동은 1번 파동과 같거나 1번의 61.8% 형성합니다.

엘리어트 파동이론의 한계 

파동의 개념이 불명확하고 융통성이 너무 많은 것이 단점입니다.
각 단계의 전환점을 확인하기가 어렵습니다.
전형적인 파동이 있는 반면에 파동이 변형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분서가에 따라 파동의 해석이 달라집니다.
똑같은 이론을 적용하더라도 하나의 공통된 의견을 모으기가 어렵습니다.
투자자가 각 단계의 전화점을 파악했다고 해도 그것이 시장의 주요 흐름을 반영하는 것인지
또는 세부적 흐름을 반영하는 것인지 구분하기가 어렵습니다.

한파동이 어디서 끝나는지 어디서 시작하는지에 대한 언급이 없습니다.
파동의 정 점과 바닥 혹은 정점과 정점 사이에 시간적 예측에 대한 지표가 없기 때문에 파동이 언제 오는지 알 수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