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가상화폐

차트 보는법 (RSI)

차흑우 가상화폐 2021. 2. 7. 20:24
728x90

이전 글  주식 용어 정리 이동평균선 아직 안 읽으셨다면 참고하시면 좋습니다.

직접 보는 차트와 비교하면서 공부하시면 더욱더 쉽게 이해될 겁니다.

이번 시간에는 보조지표 지지선, 저항선 , 볼린저밴드, RSI를 배워보겠습니다.

지지선, 저항선 이란? 

지지선  말 그대로 주가의 가격을 지지해주는 선입니다. 
지지선은 캔들에 RSI 이동평균선 등등 많은 곳에 지지선이 있습니다. 

많은 방송에서 보시면 많은 분들이 차트에 선을 그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선을 그리는 기준은 무엇입니까? 

고점은 고점끼리 저점은 저점끼리  그어 주가의 파동 (상승추세 , 하락 추세) 또는 추세를 알아볼 수 있습니다.
위 그림을 보시면 빨간색 지지선이 위로 가있는 걸 볼 수 있습니다. (상승추세)
그의 반대 파란색 선이 아래로 향하고 있습니다. (하락 추세)
아무 차트를 켜놓으시고 위의 그림처럼 한번 그어보시면 좀 더 쉽게 이해가 될 것입니다.


예시)
해당 차트를 보면 
지지선, 저항선 박스권 
상승추세라고 합니다. 

예시 사진처럼 이전 고점끼리 선을 연결
이전 저점끼리 선을 연결
했을 시 추세가 나타납니다. 

마지막에 박스권 이탈한 것을 추세 이탈 
이라고 합니다.
이는 곧 추세전환이 될 가능성이 높다고
뜻합니다.

항상 지지선과 저항선 사이에 머무는 것은 아닙니다.






RSI란 무엇입니까?  


RSI (Relative Strengith index)  주식, 선물 옵션 등의  기술적 분석에 사용되는 보조 지표라고 합니다. 
RSI는 가격의 상승 압력과 하락 압력 간의 상대적인 강도를 나타냅니다. 1978년 미국 월레스 와일더 
가 개발했다고 합니다. 


RSI 보조지표는 숫자를 사용하여, 과매수 상태와 과매도 상태를 표시하는 지표 합니다. 

과매수란 투자자들이 주식을 적정 수준 이상 매수하는 것을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펌핑
이 일어나 지수가 과하게 상승하는 경우입니다.
가격이 이미 오른 상태에서 과매수한 경우 시장 흐름은 그만 매수하고 주식을 팔 때라는 의미입니다.
시세는 약세로 전환됩니다.

(쉽게말해
많은 사람들이 적정 가격에 비해 과하게 금액이 올랐다는 뜻입니다)
과매도는 그에 반대되는 말이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내가 주식을 사고 싶은데 언제 사야 할지 모르겠다는 분들은 참고하시면 좋을듯합니다. 

예시) 

 

몇 달간 HOT했던 애플 주식입니다.
파란색 선을 보시면 과매수 구간입니다. 만약 저구 간에 매수했다면 어떻게 됐을까요 
이후 차트 볼까요  RSI 지표는 이미 과매수 이후 약세를 보이며 136불까지 밀려서 내려오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주가가 올라가는데 RSI 지표가 70을 넘었다면 이를 과매수 상태로 해석하고 되도록 상단에 물릴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매수하기 적합하지 않다고 여깁니다.

보조지표는 100%가 아니니 참고만 하셔서 진입 타이밍을 잡는 게 좋습니다.

이런 보조지표를 이용해 매도 타이밍 매수 타이밍 
과매수 = 이익실현 판매를 한다 
과매도 = 매수를 한다 (반등이 나올 확률이 높기 때문에) 단타매매 시 용이하게 사용됩니다.

다음 볼린저밴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볼린저밴드 란?


다양한 차트 보조지표입니다  이중 기본에 해당되는 볼린저 밴드입니다.
주가의 과거 추세를 밴드로 식으로 하여 보여줌으로 앞으로 주가 흐름을 예측하는데 쓰입니다.

볼린저밴드의 상단은 저항선입니다. 그렇다면 하단은? 당연히 지지선이 됩니다. 

밴드가 좁아졌다가 넓어지는 형태 주가의 방향이 추세적으로 이어집니다.

이동평균선 20일선과 중심선은 해석은 동일합니다. (중심선 또한 지지선, 저항선으로 작용됩니다)

위에 글에 지지선 저항선을 대신해주는 거라고 생각하시면 이해하기 쉬울 거라고 생각합니다.

위의 사진을 보시면 3개의 선이 있습니다. 상단, 하단 밴드 중심선 이 있습니다. 
중심선은 20일 이동평균선으로 대신합니다.  20일 이동평균선을 중심으로 똑같은 간격으로 위아래 상단 하단 밴드가 있으며 주가의 대부분은 상단,하단 밴드 사이에 속에 서 움직입니다.

예를 들어 볼랜저밴드 이탈 또는 볼린저 밴드 속에서 움직일 때 매수, 매도 포지션을 취하시면 좀 더
높은 확률로 수익을 낼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실제로 볼린저 밴드 매매법으로 수익을 얻는 투자자분들도 계십니다.


볼린저 밴드는 많은 투자자들이 선호하는 지표 중 하나입니다.
하지만 차트가 앞으로 주가를 예측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차트에 의존도를 높이는 걸 추천드리진 않습니다. 
말 그대로 내가 이 회사 주식을 사는데 보조해주는 역할을 해주 것뿐입니다. 

트레이딩에는 다양한 투자 기법이 있습니다.
초단타, 스캘핑, 추세매매 기타 등등이 있습니다.
참고해야 하는 보조지표와 시그널 지표 가 너무 많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어떤 방식이 정답이다, 수익률이 높다고 말할 수는 없습니다.

최대한 많은 차트를 보고 최대한 많이 줄을 긋다 보면 어느 순간 눈에 들어올 것입니다.
저 또한 처음엔 무슨 말인지 하나도 몰랐었으니깐요.. 

어느 유튜버가 말하기를 그냥 몰라도 줄부터 긋고 다른 차트와 비교해 봐라고 해서 
많은 차트를 보고 매시간마다 줄 그어보고 다른 차트와 비교해보니 이전에 읽었던 글들이 이해가 되더라고요
차트는 시장의 심리를 반영합니다.



주식 명언 중 
차트는 시세의 길잡이라고 합니다.
차트를 보지 않고 매매하는 것은 맹인이 지팡이를 잡지 않고 길을 걷는 것과 같다고 하지요 

이 글을 읽으시는 모든 분들 오늘도 성투하시고 익절 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