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가상화폐

주식정보 ) 주린이를 위한 단타매매방법

차흑우 가상화폐 2021. 2. 10. 18:55
728x90

안녕하세요  이전 글에선 차트 보는 법 의 배워봤습니다. 
어느 정도 차트를 익혔다면 매매방법을 배워보겠습니다.
주식에서 흔히들 많이 수익 내는 방법이 단타 (짧은 시간에 이익을 얻는 매매법입니다)

개인적으로 주식 투자를 하면서 국가경제에 힘을 보태겠다 마음으로 한 적이 없습니다. 
대부분의 투자자들이 저와 똑같은 마음일 것입니다.

주식투자는 재테크 수단 중 하나입니다. 

주식 매매에 가장 중요한 것은 잃지 않고 이익을 내는 것입니다.
(유명한 투자자 워런 버핏 명언이기도 하죠)

단타, 중기, 장기 투자를 하던지 이익을 내는 것이 베스트입니다.

투자자들 중에 많은 분들이, 단기로 매수에 들어갔다가 손실을 입으시고

손절 타이밍 놓쳐  본의 아니게  중, 장기 투자 (존버) 하게 됩니다.

이런 말이 있죠 
본인이 하면 로맨스이고 남이 하면 불륜 (내로남불)이라는 자기본위에 사고방식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먼저 단기, 또는 중, 장기 투자할 종목은 선정부터 달라야 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단기 매수로 들어갔다가 손절을 못해 중, 장기로 보유하게 되면

대부분 4~10개월을 원금이 회복될 때까지 기다리며 마음고생을 해야 합니다.

정말 최악인 경우에는 원금이 회복되기를 기다리다가  회사가 부도가 나서 상장 폐지되는 경우 
보유하고 있는 주식이 휴지 조각이 되는 상황입니다.

따라서 손절이 어려운 투자자들은 단기 급상승하는 종목은 피해야 합니다.

본인이 단기 투자자 인지, 아니면 중, 장기 투자자 인지 에 따라서 종목 선정부터 달리 해야 된다는 것입니다.

 

단타를 하는 종목 선정 은 다음과 같은 원칙을 가지고 매매하는 것이 좋습니다.

매매 조건이 있습니다.

본인이 정한 원칙대로 매매해야 하며,

매수했는데 하락하면  손절을 할 수 있는 투자자들만 하는 게 좋습니다.

 

1) 주가가 상승할 것을 예상하고 미리 매수하는 것이 아니라,  지금 뜨고 있는 종목에 한해 매매하는 게 가장 좋습니다.

매매조건: 당일 매매, 시가 형성 후, 시가를 깨고 하락하면 매매하지 않습니다.

시가를 깼다면 10~60분 이내에 시가를 회복 후 다시 시가를 깨지 않는 종목에 한해 매매하는 것이 좋습니다.

시가가 강하게 형성된 후에, 시가를 단 한 번도 깨지 않는 종목 위주로 매매하는 것이 좋습니다.

시가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이유 중 하나는 주가가 하락 후 시가를 깨고 주가가 움직인다면

당일 매매한 주식 투자자들은 손실을 보고 있다고 봐야 합니다.

그래서 손절 물량이 나올 확률이 높습니다.

그렇게 되면 손실을 본 많은 투자자들이 투매하기 때문에  주가는 생각했던 것보다 더 큰 폭으로 하락하게 됩니다.

이렇게 되면 당일 주가는 하락으로 일관하다 장을 마칠 확률이 큽니다.

하락하고 있는 종목은 피하는 게 좋습니다,

개별 종목은 5분 30분 봉을 보면서 매매하면 늦기때문에

3분, 5분, 30분 봉 등은 추세(하락세, 상승세)  및 지지, 저항을 예측하는데 만 봐야 하는 게 좋습니다.

만약에 급 등락하는 종목을 매수했는데 1~3분 이내에 움직이지 않는다면 손절하는 게 좋습니다.

 

(아래 예시 사진은 1분 봉 차트입니다)

1. 시가를 무지 중요하게 여깁니다.
그리고 시가를 깨고 하락하면 매매하지 않는 것을 원칙  항상 시가를 기준으로 매매하며  시가를 깨면 손절로 대응 

시가가 (-) 마이너스로 시작 장 마감 때까지 계속 하락하다가 마감한 종목 그래서 시가가 (+) 플러스로 시작하는 종목을 위지로 매매해야 하는 것이 좋습니다.

 

2) 재무제표 크게 신경 쓰지 않아도 됩니다.

단타매매는 상한가에 도달하지 않는 한 홀딩을 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매매하기 때문에

당일 수익을 거두고 빠져나오는 게 좋습니다.

그 이유는 며칠 , 또는 몇 달 오랫동안 보유할 종목이 아니므로 회사에 가치가 중요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당일 수익을 낼 수 있는 종목이면 좋기 때문입니다.

내일 부도가 나더라도 오늘 수익을 챙길 수 있으면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누가 봐도 차트가 좋은 종목을 고르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이런 종목은 누구나 선호하기 때문에 많은 투자자들이 매매에 참가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상, 하 변동성이 큽니다.
상, 하 변동성을 이용한 초단타입니다.

세금 , 수수료를 빼고 수익을 챙길 수 있는 구간에만 매매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따라서 하락하거나 작은 횡보구간에서는 매매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거의 대부분 횡보 후, 조정이 끝나면 큰 폭으로 상승을 하거나 하락을 합니다.

대부분 횡보가 길어지다가 횡보구간을 뚫고 상승하거나 하락할 때 큰 폭으로 움직입니다.

따라서 횡보하다가 횡보구간을 뚫고 상승 시에는 적극 매수하는 것이 좋습니다.

단, 다시 하락 시 횡보구간을 돌파했던 부분을 하락하면 자동으로 매도해야 하는것이 좋습니다.

그 이유는 급락을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재무제표를 전혀 보지 않고 차트만 보고 매매하는 종목에는

절대 홀딩해서는 안 된다는 것을 명심해 두는 게 좋습니다.

아래 사진은 횡보 후 횡보구간을 상향 돌파 후 급상승한 사진입니다.

 


시가를 하락하고 등락을 하면서 횡보하던 주가가 시가를 회복하고 횡보구간을 상향 돌파하며 급상승하는 모습입니다.
(아래 사진 참조)

 

 

3) 현재 상한가를 친 종목을 위주로 매매합니다.

전날 상한가 종목은 70 ~80% 높은 확률로 다음날 시가가 강하게 시작합니다.

처음 장이 시작되어 상승을 한다면 호가창을 봅니다 이를 통해 매수에 강도 큰지
매도에 강도 큰지를 확인 후
매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무턱대고 매수했다가 고점에서 매수하는 상황이 되면 손실이 클 수 있기 때문입니다.

장이 시작되어 급상승한다면 관망 후 처음 상승 후 하락 및 횡보하다가

재차 상승할 때 매수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매수를 할 때는 손절가를 미리 정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매수를 했는데 어느 가격까지 하락하면 무조건 팔겠다는 설정이 있어야지만

흔들리지 않고 과감하게 손절을 할 수 있습니다.

 

상승하고 있는 종목을 처음 상승했던 부분까지 오면 매수하겠다고 기다리면

매수에 기회는 오지 않는 게 대부분입니다.

만약 그런 기회가 온다면 상승보다는 하락할 확률이 큰 종목일 수 있습니다.

 


아래 사진 참조 시 가위에서 횡보 후 횡보구간을 상향 돌파하고 급상승하는 모습입니다.
급상승하면 급락도 할 수 있음다는 것을 유의해야 합니다.

 

 

4) 매매하고자 하는 종목이 고점에 형성 후, 다시 직전 고점을 돌파하지 않는다면 관망하는 것이 좋습니다.

    전 고점을 돌파하면 과감히 매수에 참가하는 것이 좋습니다.

아래 사진 전 고점을 돌파하지 못한 후 하락을 보이는 차트입니다.

 



아래 사진 참조 고점을 형성한 후 장 마감 때까지 하락하는 모습
이렇기 때문에 하락하고 있는 것은 매매하는 것을 피해야 합니다.

 

 

5) 급격하게 하락한 종목은 쌍바닥 바닥을 확인 후 상승 시에만 매매하는 것이 좋습니다.

하락하고 있는 종목은 매매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이지만

공시나 루머 등으로 일시에 급락한 종목은 유의해서 볼 필요가 있고 있습니다.

공시나 루머 등에 큰 문제가 없음다고 확인이 되면 일시에 급등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급락한 종목은 쌍바닥을 형성한 이후 매수에 들어가야 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이유는 급락한 종목이 약 상승한다고 매수에 들어간다면  상승한 것보다 더 큰 폭으로 재차 하락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주가가 상승한다는 것은 저점과 고점이 높아지는 것입니다.

쌍바닥 바닥을 확인하는 방법은 최저점을 형성 후, 재차 하락을 해도 최저점을 뚫지 않고

그 위 지점에서 하락을 멈춘 후 상승을 한다면  재차 하락을 한다 해도

두 번째 지점을 하락하지 않고 상승하다면  2중 바닥을 형성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아래 사진 참조 2중 바닥 형성 후, 20일 선돌파 상승 매수 시점입니다.

 

오늘도 성투하시고 익절 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