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가상화폐

(차트보는방법) 초보를위한 스캘핑 기법

차흑우 가상화폐 2021. 2. 18. 18:18
728x90

안녕하세요 오늘은 
스캘핑 기법 요소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주식 보유기간을 가능한 한 짧게 가져가는 것이 좋습니다.

 

2. 수수료, 세금 등 고려해도 충분한 이익을 얻을 수 있을 때만 매매합니다

 

3. 평균적인

 

 

4. 가격 및 거래량에 움직임을 지켜본 후에  매수, 매도합니다

횡보 중에는 절대 매수 삼가하는 것이 좋습니다.
상승으로 움직일 때만 매수하는 걸 추천드립니다.

 

 

5. 상승이 멈추면 매도합니다, 하락이 멈추면 신속히 매수합니다

누구나 알고 있는 기본적인 요소이지만 누군가에게는 도움이 될 거라 생각합니다.

 

손절

1. 상승을 기대하고 매수했지만  횡보하거나 시가를 깨고 하락한다면 손절합니다.

2) 매수했지만 움직임 없이 횡보의 시간이 길어지면 손절합니다. 
  횡보에 기간이 길어지면 상승보다는 대게 하락할 확률이 높기 습니다.

3) 매수를 했는데  아니라고 생각하는 경우 손절과 감히 손절합니다.

4) 이외, 투자자가 정한 손절 원칙에서 주가가 이탈하면 과감히 손절합니다.

 

지지선, 저항선의 돌파가 된다면 

차트에선 상향 돌파와, 하향 돌파가 있습니다.

상향 돌파에는  저항을 뚫고 상승하는 것을 뜻합니다   -> 상향 돌파 시 매수를 합니다.

하향 돌파에는  지지를 뚫고 하락하는 것을 뜻합니다   -> 하향 돌파 시 매도를 합니다

 

시가 매매 (예:양봉인 경우)

만약 아침 시가가 최저가라고 가정하에  이후 상승하여,장중에 양봉을 내며 움직이는 종목이 하락하는 경우에는
금일 장중 최저가인 가격에서 대부분 지지를 받게 됩니다. 확률상 높은 것이지 100%는 아닙니다.

만약 시가 밑으로 하락했다가 바로 반등해 시가 위로 상승한다면 상승추세가 유지되지만

시가 아래에서 횡보를 하는 경우 그리고  횡보하는 시간이 길어지면 그날에 추세는 하락 추세일 확률이 높기 때문에 매매를 멈춘 뒤 관망하는 것이 좋습니다.

시가가 상승으로 형성되어서 시작된다면
전일에 매수한 사람들에 
이익실현 물량이 나올 확률이 높습니다.  이내 하락 반전을 주의해야 합니다.
장 시작 후에  지켜보다가하락하는 경우 반등할 때 매수에 임하는 것이 좋습니다.

하지만 하락하다 멈추고 반등하는 줄 알고 지켜보고 매수했는데멈칫거리다가 재차 하락한다면 매도를 해야 합니다.

시가가 높게 형성되어서 시작(+3%)된 장에서 매수를 하면 추격 매수하는 것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지켜본 후에
매수를 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전날의 저가, 또는 고가 등을 생각해서 지지 가격권을 예측하여 매매합니다

 

손절 원칙

매수 후 상승을 예상했지만 예상과 달리 하락하는 경우에는 
지켜주는 가격이라고 예상되는 바로 위의 가격이나 지켜주는 가격에 신속히 매도합니다.
지켜주는 가격이 무너지면 급락의 위험이 있기 때문입니다.

 

지켜주는 가격 (지지선)
 

지지 여부에 대해 신뢰는 대량의 매도 물량이 나오면서 하락하던 주가는 특정 가격대에 가면 서매도 물량 출회가 감소됩니다.

하락이 멈칫거리고보이지 않던매수가 들어게됩니다.

매도호가에 물량이 체결되어  곧바로 매수 물량이 들어옵니다.
매수 호가에서 매도호가로 전환된 호가가 매수체결로 매수호가로 전환됩니다.

이때 매수호가에 매수량이 신규로 들어오게 되고  매도 물량을 나와 하락하지 않는다면 지지가격이라

예상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시장 투자자들도 같이 생각하고 많은 사람들이 지지 가격에 매수 주문을 넣었습니다.

내가 넣은 주문은 체결이 안 되고 상승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럴 때는 과감하게 지지 가격 1호가 위에 매수 주문합니다.

또는 지지 가격에 남보다 먼저 주문을 넣어서 빨리 체결이 된다면 
그것은 지지하고 상승하기보다는오히려 지지에 실패 이후 
하향 돌파되는 경우도 빈번하게 발생됩니다.

지지 가격대에서 주문이 채결되었다고 안심을 놓아서는 안됩니다.

만약 지지선이 붕괴된다면  과감히 손절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후에 재 매수 포인트를 찾아야 합니다. 
하지만 지지선 붕괴 때 예상보다 큰 폭의 하락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뇌동 매매를 하지 않고 급락의 멈춤을 확인한 이후에, 재 매수에 하는 걸 추천드립니다.

만약에 재 매수에 성공한 이후에 
하락을 조짐이 보이거나 
예상대로 주가가 상승하지 않을 경우 곧바로 손절할 생각으로 진입해야 합니다.

집중을 해야 합니다. 그 이유는 급락 시 매도하지 못한 투자자들이 
급락 후 반등이 나타난다면 바로 매도 물량이 나오기 때문에

작은 반등 후 재차 하락을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저항선 매매 

저항선 돌파 때 가장 중요한 것은 대량의 매수가 짧은 시간에 급히 들어오면서 돌파하는 것입니다.
잘못하면 매수 타이밍을 놓치는 경우가 발생하거나, 이의 대로 추격매수가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저항대 물량을 한 두 번의 체결로 돌파해야 합니다.

강력한 매도 호가였던 가격대 부근을 돌파했다면최소한 일부 매도가 나온다 할지라도 
충분히 버틸 수 있을 만큼의 매수세가 있어야만 하락하지 않고 지지를 할 수 있 수 있습니다.

만약 매수의 힘이 약하면 돌파 매수한 참여한 투자자자들이 실망 매물을 던질 뿐 만 아니라 속 매수세가 없어

주가는 곧바로 하락하고 마는 현상이 나타 날 수 있습니다.

일부는 세력에 의해 인위적인 돌파를 시도했을 경우 돌파 이후, 바로 재 하락하는 상황이 발생 할수있습니다

반등에 실패한다면  곧바로 손절의 원칙을 가지고 매매에 참여해야 합니다.

 

돌파 매매 
예시조건 ) 급등


1. 만약 돌파시 대량의 거래가 연속적으로 형성되어야 합니다.

2. 돌파하려는 저항 가격에 매도 물량이 대량이어야 합니다.
 
대량의 매물을 소화한다면 돌파가 아주 강하게 나타납니다.

3. 돌파 이후에는 돌파 가격에 대량의 매수가 유입되거나, 신규 매수 유입이 있어야 합니다.

4.  돌파 매물을 3.4번의 체결로 소화해야 합니다.이 말은 빠른 시간에 돌파되어야 합니다.

    시간이 오래되면 돌파 매수한 참여자들의 실망 매물이 나올 수 있습니다.        
     하락 반전할 수 있습니다.

 

패턴에 따른 매매 저점  (역 헤드 앤 숄더) < 헤드 앤 숄더 설명 이전 글 참조 

만약 하락하던 주가가 급락하게 되어 왼쪽 어깨의 하락보다 더 큰 하락(머리)을 형성 후에
반등 일합니다.  이내
하락이 직전 저점(머리)을 하향하지 않고 대량의 매수가 들어온다면 저점이 높아지는 유형입니다.

올바르지 못한 저점 인식은 큰 손실을 과 연결되기 때문에 주의해야 합니다.
매매 타이밍을 천천히 잡아도 되는 유형이기 때문에 확인 후 매매하는 것이 좋습니다.

 

바닥 확인 (이중 또는 삼중 바닥형)  <<이중 삼중 바닥, 이전 글 참조 

특정 가격까지 하락을 했지만, 해당 가격에 2~3번 이상의 매물이 출회됨에도 불구하고

보이지 않는 매수라던지, 신규 매수가 유입되면서 하향 돌파하지 않는 지점 또는 가격의 유형입니다.

이런 유형은 특정 가격대에 매도가 연속적으로 나오지만, 매수가 신규로 유입된다는 특징과 함께

강력한 지지를 인식하게 된다면  순간 강한 매수가 유입된다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여러 번 하향 돌파 시도가 있었지만 하향 돌파하지 못하고 지지한다면
이전보다
 강력한 후속 매수세가 유입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여기서 주의할 점은 고점에서 돌파 실패 때 에는 곧바로 매도가 출회되는 경우가 많지만
저점에서는 지지한다고 곧바로 매수가 유입되는 것은 아닙니다. 

저점을 확인할 때는 신중해야 합니다.
만약 저점을 높이며 확실한 반등을 확인할 때는 매매를 해야 합니다.

 

바닥 형성 패턴(원형 바닥, V자형 바닥) 이전 글 참조 

천천히 하락하면 그만큼 하락하면서 매수한 거래자들이 많기 때문에
반등 시 매물이 많다는 것입니다. 천천히 상승을 하여 원형을 그립니다.

이것에 비해 큰 가격 갭을 주고 난 후  순간적으로 하락을 하면 저점에서 매수하려는 거래자들이 많기 때문에

저점을 짧게 주고 곧바로 반등을 합니다.
V자형 패턴이  형성되는 것입니다.


만약에 하락 이후, 반등을 주지 못하고 오랫동안 횡보를 하게 된다면  스캘퍼 투자자는  매매를 하지 않는 게 좋습니다.
보유 시간이 그만큼 길어지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