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
이전 글에서는 다이버전스를 통해 매매하는 방법을 알아봤습니다.
오늘은 스토캐스틱 으로 활용 매매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스토캐스틱이란?
대표적인 보조지표입니다. 스토캐스틱(Stochastic Oscillator)은 주로 횡보구간에 많이 사용합니다.
스토캐스틱 보조지표 이므로 가격보다 느린 후행 성지 표입니다.
간략하게 정리해 빠른 결정을 도와주는 보조지표입니다.
지표를 통해 현재의 주가 위치를 알 수 있습니다.
만약 지금 주가의 상승 추게라면 스토캐스틱 지표가 100에 가까워집니다.
하락 추세의 경우 0에 가까워 지도록 만든 지표입니다.
100~0 이전 글을 읽었던 분들은 사진만 봐도 어떤 방법인지 감이 올 거라고 생각합니다.
왼쪽 사진은 추세와 파동을 그린 것입니다.
스토캐스틱의 매매시점은 80 이상 20 이하
가 매매 시기입니다.
이전에 과매수, 과매도 도움될 것입니다.
스토캐스틱 은 보조지표이기 때문에 다이버전을 이용한다면 더욱더 매도시점을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습니다.
다이버전스 이전 글에 포스팅해두었으니 참고하시면 좋을듯합니다. 다이버전스 <이전 글 참조
다이버전스 시그널 중 % K의 시그널 보단 % D 다이버전스 신호가 더 중요할 때가 있습니다. 중요한 구간에는 각 움직여 좀 더 신경 써서 봐야 합니다.
% k선과 % D선이 골든크로스 데드크로스가 (골든크로스, 데드크로스 이전 글 참조 )
나타나면 매수 매도보다는 매매시점을 찾는 것이 좋습니다.
이전에 말했다시피 스토캐스틱은 0과 100 사이에서 움직입니다.
주가가 높다면 100에 근접하게 됩니다.
반대로 주가가 낮아진다면 당연히 0에 가까워집니다.
일반적으로 80 이상이면 과매수 20이하이면 과매도 라고 설정합니다.
80이상 수치가 올라간다면 조정(하락)을 예상해야 합니다.
20 이하 하라면 반등 (상승)을 예상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가격이 계속 상승한다면 스토캐스틱은 계속 100 근접한 상태로 횡보할 것입니다.
주가가 폭락하는 기간이라면 스톡캐티스틱은 0에 가까운 채로 횡보합니다. 단순히 과매수 과매도에
접근했다고 해서 매매 손실을 입을 수 있다는 것에 주의하셔야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20선이 상향 돌파할 때 , 80선 깨고 내려오는 시점에 접근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다음 % K ,%D를 이용한 매매입니다.
검은색 % K선(오늘의 주가) , 빨간색 % D선(이동평균선)
상향 돌파하면 매수 또는 하향 돌파한다면 매도합니다.
이동평균선과 골든크로스가 나타난다면
상승추세의 시그널입니다. 반대로
데드 크로스 나오면 하락 시그널입니다.
잘 맞는 시그널도 있지만 , 너무 잦은 시그널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스토캐스틱의 모든 시그널은 무시할 수많은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스토캐스틱을 잘 활용해 구간별로 분석한다면
일정한 패턴이 있다는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간략하게 추세를 가지고 일정 기간 이상 움직임을 보일 때는 스토캐스틱
시그널에 따라 매매하면 수익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신뢰가 높은 추세를 확인하기 위해 MACD와 함께 본다면 더욱
더 신뢰가 높습니다.
MACD가 상승 추세라면 스토캐스틱이 알려주는 골든 크로스 매수 시그널에만 중점을 둡니다.
이런 구간에서 매수했다면 MACD에서 알려주는 상승추세 구간에서 수익을 볼 수 있는 확률이 높습니다.
MACD의 상승추세가 진행된 상태라면 조정(하락) 추세가 시작될 수 있다는 것에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MACD는 다들 아실 거라고 생각해 이것에 대해 포스팅을 안 해서 MACD를 간략하게 설명하겠습니다.
MACD는 장기 이동평균선과 단시 이동평균선이 간격이 멀어지게 되면 다시 가까워지려는 성향이 있습니다.
이것을 통해 추세분석을 할 수 있습니다. 이동평균선 < 이전 글 참조
MACD는 이동평균선이 가지고 있는 '후행 성지 표'를 일부를 극복한 지표입니다.
MCD 골든크로스 데드크로스를 활용한 매매 시그널
빨간색선 MACD
초록색 점선 (시그널선)
MACD선이 골든크로스 가나 타난 다면
매수 시그널입니다.
반대로 시그널선 데드크로스가 나타난다면
매도 시그널로 판단하는 게 좋습니다.
시그널에 중점을 두는 것보다 추세를 이해하기 위해 지표를 이용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위에 글에서 언급한 스토스캐틱 과 거의 동일한 방법으로 매매 시그널입니다.
MACD 값은 주가에 따라 달라지는 다는 것은 다들 아실 겁니다.
가운데 0선 기준입니다.
1000 사이에의 상하 값을 가집니다.
그러나 주식 1주의 가격이 비싸다면 MACD 값은 중앙 0선을 기준으로 상하 값이 몇만 정도까지 변동합니다.
왼쪽 그림 참조 MACD 가 0선을 위로 뚫고 돌파한다면 매수 시그널
반대로 0선을 아래로 뚫고 돌파한다면 매도 시그널이라고
판단하면 됩니다.
위의 그림 참조 빨간색 구간 상승 추세입니다. 주가가 상승하고 있는 구간인걸 볼 수 있습니다.
MACD선이 0선 밑에 있다면 상승한다고 해도 상승추세에 대한 힘이 떨어진다고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좀 더 정확한 추세를 위해서 MACD가 기준선 이상에서 상승 또는 0선 기준에 근접하여
상승하거나 또는 0 아래에서 상승하는 각도에 따라 매수 가능구간의 시점을 볼 수 있습니다.
MACD가 하락하기 시작한다면 이것은 곧 하락 추세라고 이해할 수 있습니다.
만약 아직 MACD가 0 선위에 있고 하락 추세가 가파르지 않는다면, 조정을 예상해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것이 일시적인 조정인지 하락인지는 정확히 알 수 없기 때문에
단순하게 MACD가 하락 추세라면 가급적 매수 자제하는 것이 좋습니다.
다시 MACD가 상승추세가 나타난다면 다른 보조지표들과 복합적으로 분석 후 판단하시는 게 좋습니다.
(예 :위에 언급한 스토캐스틱과 함께 보시면 좋습니다)
'주식,가상화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차트보는방법) 초보를위한 단타매매 (초단타전략) 방법 (0) | 2021.02.17 |
---|---|
(차트보는방법) 초보자를 위한 차트 보는법 (삼각수렴,헤드앤숄더) (0) | 2021.02.16 |
(차트보는방법) 다이버전스 (0) | 2021.02.14 |
(차트보는방법) 캔들매매 3편 (0) | 2021.02.13 |
(차트보는방법) 캔들매매2편 (0) | 2021.02.12 |